CS center
053.764.0155
산전·산후관리산후풍
산후풍
01
산후풍이란?
산후풍은 평생간다?
충분히 한방치료로
치료가 가능
아기를 낳고 난 뒤 임신과 분만에 의하여 발생되었던 자궁, 골반 등 전신의 모든 기관의 기능이 서서히 회복되기 시작하여 임신기간 이전의 상태로 돌아가는데
소요되는 기간을 산욕기라 하고, 개인적인 차이가 있으나 대체로 6-8주 정도의 기간이 소요됩니다.
이 기간에 조리를 잘못한 경우에 발생되는 일련의 후유증 증후군을 산후풍이라고 말하며, 이러한 산후풍이란 병명은 우리나라에서 예로부터 내려오는 속칭어로서
부인이 아기를 낳은 뒤에 섭생을 잘하지 못하여 얻은 병을 총집약한 것입니다.
02
산후풍의 한방 원인
  • 혈체
    혈체신통은 산후에 어혈이 제거되지 않고 경락에 머물러 그대로 막히면서 오게 됩니다. 산후오로의 색이 자흑색이고 양이 적으며 아픈곳을 누르면 통증이 심하거나 맥이 거칠면서 느리고 전신이 쑤시고 아픈증상이 나타납니다.
    또한 얼굴과 입술도 어혈색인 자흑을 띄게 됩니다. 어혈을 제거하면서 전신순환을 원할히 하는 치료를 합니다.
  • 혈풍
    혈풍신통은 산후에 기와 혈이 모두 허한상태에서 풍한을 받게 되면 전신의 근맥이 경련을 일으키면서 수축하고 무력하며 통증이 있습니다.
    전신관절 및 머리가 아프고 오한이 있으며 맥은 긴장감이 있습니다. 심해지면 경련이 생기면서 손발이 차가워지는 현상이 나타납니다.
    풍의 나쁜기운을 밖으로 내보내주는 치료를 하면서 혈을 보해주는 치료를 합니다.
  • 혈허
    혈허신통은 산후에 출혈이 대량 나오게 되면서 피부와 혈맥이 치밀하지 못하고 느슨해져서 통증을 느끼게 됩니다.
    보통 아픈 곳을 누르게 되면 통증이 감소되고 시원한 느낌을 받습니다.
    부족해진 기와 혈을 보해주는 치료를 해줌으로써 전신순환을 도와줍니다.
03
산후풍의 임상적 원인
1분만 후 원기가 회복되지 않은 상태에서 한기에 접촉되거나
나쁜 피가 몸에 정체되어 있을 때
2분만 후 조리가 충분하지 않은 상태에서 과로할 때
3나이가 들어서 출산하거나 난산했을 때
4제왕절개 분만시 하혈이 많았을 때
5임신 중에 유산 기운이 있었거나 심한 입덧, 과로, 정신적인 충격이 있었을 때
6유산과 출산의 횟수가 많을 때
7배출되지 않고 남아있는 어혈이 관절이나 경락에 머무르게 되는 경우
04
산후풍의 증상
심리요인과
환경요인의 변화에 따라

증상의 정도는 달라집니다.
증상의 발현은 환경이나 감정의 변화에 아주 민감하게 나타나기도 하는데
통증은 심하고 시간이 갈수록 전신 관절과 근육으로 집중되는 경향이 있으며 여름에도 관절부위가 시리기도 합니다.
1허리, 무릎, 발목 등 여러 관절 통증
2신체일부 시림 혹은 전신 시림, 찬바람 들어오는 느낌
3한측 또는 일부분의 팔다리 저림
4어깨결림, 뒷목당김, 등 통증
5오한, 땀, 피로, 무기력
6빈혈, 두통, 메스꺼움
7식욕부진, 불안, 우울증
05
산후풍의 자가진단
  • 바람이 심하게 불면 몸이 시려 외출이 힘들다.
    관절마다 몸이 차고 시리며 아픈증상이 있다.
    방바닥을 맨발로 지나다닐 수 없으며 양말을 신고 있는 것이 편하다.
    시린 증상이나 통증으로 잠을 설친적이 있다.
    산후풍 증상으로 마음이 우울하고 몸이 쳐진다.
  • 에어컨 바람만 쐬어도 몸이 아프다.
    땀이 심하게 나며 땀이 나면 찬기운이 더욱 심해진다.
    찬물로 손을 씻거나 샤워를 할 수 없다.
    출산 후 증상들이 더 심해졌다.
위 항목 중 다섯가지 이상
해당이 된다면 산후풍 치료를
받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06
맘스효성한의원의
산후풍 치료

  • MOMS .01
    어혈개선
    기혈순환

  • MOMS .02
    신진대사 원활
    노폐물배출

  • MOMS .03
    통증완화
    부종완화
    한기개선

  • MOMS .04
    신체밸런스 균형
    면역력강화

  • MOMS .05
    정서적 불안 또는

    우울감 개선

  • MOMS .06
    땀 과다
    배출조절
07
산후풍의
자주하는 질문
Q산후풍, 정말 나을 수 있나요?
A산후풍은 한방치료로 나을 수 있는 병입니다.
적절한 한약치료가 우선입니다. 그외 치료도 많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약물치료입니다. 약물치료로도 충분히 나을 수 있습니다.
산후풍 환자들이 치료가 끝난 이후에도 오랜기간 편히 지낼 수 있는 것을 보면 치료가 비교적 유효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Q산후풍 시간이 지나면 저절로 나아지나요?
A나아지지 않고 산후풍 증상이 진행이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조기치료가 중요합니다.
Q산후풍 증상은 우리나라 사람만 있는 것인가요?
A산후풍이란 말은 우리나라에서 옛날부터 항간에 널리 퍼져 내려오는 속칭어로서 부인이 아기를 낳은뒤 조리를 잘 하지 못하여 얻은 병을 총집합하여 널리 통용되는 속칭병명의 하나입니다.
문헌상으로 보면 한국, 일본, 중국의 책에서도 그 근거를 찾을 수 있습니다. 정확한 역학조사가 되지 않아 확진하지는 못하지만 과거 고조선의 강역도에 해당하는 발해만 위쪽이나, 한국 일본 등 한민족의 유전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에게서 나타나는 것으로 보입니다. 일본문헌에서도 혈도증이라는 증상이 보이는데 산후풍 증상과 유사하게 보입니다. 이 세 곳이 출산후의 풍속도 비슷하게 유지하고 있는 것을 보면 어느 정도 근거가 있는 것으로 추측됩니다.
Q방은 무조건 뜨거워야 한다?
A아닙니다. 산모의 방안 온도는 22-24도 습도 40-60%가 적당하며 잘때 따뜻한 정도가 적당합니다. 그렇다고 찬바람을 직접적으로 쐬는 것도 좋지 않습니다.
방안 공기는 자주 환기시키고 이부자리를 청결히 유지합니다.
Q땀을 푹내야 하나요?
A임신기간동안 불어난 몸안의 체액들이 서서히 빠지기 시작하므로 땀이 자연적으로 많이 나기 시작합니다. 억지로 땀을 낼 필요는 없으며 오한기를 느끼지 않도록 관리하고 면으로 된 속옷을 자주 갈아 입어 청결을 유지하면 좋습니다.
지나치게 덥게 하여 땀을 많이 내면 탈수가 오기도 하고 수유에 지장을 초래할 수도 있습니다.
Q운동은 물론, 움직이지 말아야 한다?
A출산 후 3-4일간은 누워서 지내는 것이 좋습니다.
수유와 식사시 앉아 있고 아기를 오래 안고 있다든지 들고 있는 것은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나 너무 장기적인 안정은 복직근의 이완과 자궁의 후굴을 가져와 오로배출지연과 기력회복을 더디게 할 수 있으므로 산후 1주일 후부터는 가볍게 실내를 걸어다니고 산후체조를 20분 정도 가볍게 하는것도 좋습니다.
Q호박물, 흑염소, 가물치 등을 꼭 먹어야 한다?
A호박은 몸안에서 이뇨작용을 하므로 붓기를 빼는데 도움이 될 수 있으나 성질이 강하므로 함부로 오래 먹으면 기력이 쇠할 수 있습니다. 가물치는 저지방의 고단백식품이라 산후 기력을 보하는 의미가 있기는 하나 소화장애를 유발할 수 있으며 회음부 손상과 제왕절개 부위의 염증을 악화시킬수도 있습니다.

흑염소의 경우는 평소 몸이 차고 소화기능이 약한 체질에는 좋으나 다른 체질에는 큰의미가 없습니다. 옛날 먹을 것이 귀하고 몸의 기력을 보할 음식이 마땅치 않을 때 생긴 관습인 것 같습니다.
무엇보다도 오로가 잘 배출되게 하고 자궁과 골반의 수축을 도우며 기혈을 보할 수 있는 치료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Q산후풍, 약만으로 치료가 됩니까?
A대부분의 환자들은 약물치료만 해도 좋아집니다.
내원하셔서 치료가 꼭 필요한 환자들은 다른 치료를 병행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Q산후조리를 잘 못하면 산후풍 증상이 생기나요?
A산후풍은 발생하는 원인이 따로 있기 때문에 잘못된 산후조리만으로 원인이 된다고 할 수 없지만 잘 쉬지 못하고 스트레스가 많고 난산을 하거나 고생하는 경우에 발생확율이 높습니다.
Q산후에 침 맞는 것이 안 좋다고 하는데 괜찮을까요?
A환자의 체력이 너무 떨어진 상태에서 침을 놓지 말라고 해석하는 것이 맞습니다.
환자가 너무 체력이 떨어져 치료받기가 힘든 경우가 아니라면 무방합니다.
Q산후풍은 찬바람 맞아서 생기나요?
A산후풍은 찬기운이 들어가서 생기는게 아닙니다.
직접적인 원은은 아니지만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Q산후 보약을 먹으면 살이 찐다?
A아닙니다. 산후에 쓰는 한약처방은 어혈을 풀어주고 기혈을 돌려주어 노폐물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여 산전의 몸상태로 빨리 회복하게 만들어줍니다. 오히려 너무 많이 먹거나 휴식을 오래 취하여 생기는 비만이 많으며 대체로 모유수유를 하게 되면 본래의 체중으로 회복됩니다.
Q산후조리약은 언제부터 복용하는 것이 좋은가요?
A정상분만의 경우 출산 후 바로 복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제왕절개의 경우 가스가 배출이 되고 정상식사가 가능하게 되면 복용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임신초기부터 산후질환까지!
맘스효성한의원에서
국민행복카드
혜택
을 누리세요!
임신부의 건강한 분만과
산모의 건강관리를 위해 진료비 일부를
국민행복카드로 지원합니다.
※ 카드 수령후 분만예정
(출산·유산진단)일로부터 2년까지 사용가능